##. 이동평균선 활용

주가는 이동평균선의 방향대로 움직이려는 성질이 강하다.
- 5일선 상승 (단기 상승추세), 하락 (단기 하락추세)
- 20일선 상승 (중단기 상승추세), 하락 (중단기 하락추세) 등으로 해석 가능.



지지와 저항의 예측

<지지선>
- 이동평균선이 주가가 추가적으로 하락하지 않게 지지선 역할을 한 경우.
이동평균선이 주가 아래에 있으면 이를 지지선이라 하고 주가가 지지선의 지지를 받느냐 아래로 더 떨어지느냐를 확인하여 매매를 결정.
- 지지가 확인되면 대기하고 있던 매수세의 유입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.

<저항선>
- 반대로 이동평균선이 주가의 상승을 막는 저항선 역할을 한 경우.
이동평균선이 주가보다 위에 있으면 저항선이라 하고 주가가 저항선의 저항을 받아 하락하느냐, 저항선을 뚫고 상승하느냐를 확인한 후 매매를 결정.
- 저항선을 뚫지 못하면 하락 가능성이 크므로 매도시점.




정배열과 역배열

<정배열>
- 위에서부터 차례로 5일선, 20일선, 60일선, 120일선 순으로 배열된 형태.
- 주가가 꾸준히 상승할때 나타나고 향후 원만한 상승을 예상.
정배열 초기에 신규 매수 고려.

<역배열>
- 반대로 위에서부터 120일선, 60일선, 20일선, 5일선 순으로 배열된 형태.
-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에서 나타남.
역배열 출현시에는 보유보다는 매도
- 매수는 정배열이 출현할 때까지 기다리는 것이 좋다.